// bad
const message =
'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. \
Ab dolor rem temporibus ratione ducimus dicta, ea voluptas id, \
quae illo repudiandae minus enim nesciunt soluta expedita incidunt \
non pariatur labore.';
// bad
const message =
'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.' +
'Ab dolor rem temporibus ratione ducimus dicta, ea voluptas id,' +
'quae illo repudiandae minus enim nesciunt soluta expedita incidunt' +
'non pariatur labore.';
// good
const message =
'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. Ab dolor rem temporibus ratione ducimus dicta, ea voluptas id quae illo repudiandae minus enim nesciunt soluta expedita incidunt non pariatur labore.';
4.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생성하자.
변수를 함께 사용하여 문자열을 만들 경우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한다면 더욱 간결하게 생성할 수 있고 가독성 또한 높아진다.
변수를 함께 사용하지 않느다면 굳이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.
// bad
function sayMySelf(name, age) {
return '안녕하세요! ' + '전 ' + name + '입니다. 나이는 ' + age + '살입니다.';
}
// good
function sayMySelf(name, age) {
return `안녕하세요! 전 ${name}입니다. 나이는 ${age}살입니다.`;
}
5. Conclusion
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문자열은 정말로 많이 다룬다.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나름대로 문자열에 대한 코딩 컨벤션은 잘 지키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. 물론 문자열을 나타낼 때 지금까지 큰 따옴표를 사용했지만 이는 에디터 환경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쉽게 수정할 수 있으니 큰 문제를 느끼지 않았고 편안한 마음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.